울산시는, 울주군 일대 40만평을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해 줄 것으로 지난 2001년부터 정부에 건의하고 있습니다만, 지역간의 균형발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부의 방침에 밀려 번번이 쓴 맛을 보고 있습니다.
울산시는, 지역의 미래발전을 위해, 자유무역지역 지정을 꼭 이뤄내겠다는 입장인데요,
어떻게 하면, 그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지, 각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는 자리가 오늘 울산시의사당에서 마련됐습니다. 김명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R>아직까지는 울산이, 대한민국을 이끄는 산업도시에 걸맞는 견인차 역할을 해내고 있지만, 울산의 미래는 불투명합니다.
주요 사업인 자동차와 조선, 석유화학은 생산성이 계속 떨어지고 있고, 기업의 설비투자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바로 지금, 산업구조를 혁신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불안감이 산업계 안팎에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울산시는, 울산의 미래성장동력을 이끌 히든카드로, 자유무역지역 지정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선조 울산시 경제정책과장-발전 가능성이 있는 곳에 정부가 지원하는 것이 타당하다
울산 자유무역지역 성공지정을 위한 전략마련 심포지엄에 참가한 각계 전문가들은 입지여건이 뛰어나고, 성장동력이 풍부한 울산이,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돼야 한다며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그러나, 충분히 발전된 지역에, 2천억원이나 되는 사업비를 지원할 수 없다는 식의, 정부의, 균형위주의 정책이 울산에는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씽크> 서수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전문위원 -부지매입비 등 일부를 울산시가 부담하거나 제3섹터 방식으로 추진하고...
울산시가 적극적으로 전략을 마련하는 것과 함께, 관련단체와 시민들이 함께 나서, 정부를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JCN뉴스, 김명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