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CN 뉴스 >NEWS 다시보기

NEWS 다시보기

JCN NEWS 상세
사회
[단독] 중장비 불법정비 기승..단속 걸려도 버젓
송고시간2024/05/16 18:00


(앵커)
불법으로 건설중장비를 정비하는
무허가 업체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단속에 적발된 건수만 400건이 넘었는데
특히 울산과 부산, 경남권에서만 114건이나 적발됐습니다.

하지만 일부 사업장들은 고발을 당해 벌금을 물고도
버젓이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라경훈 기자의 단독 보돕니다.

(기자)
울산의 한 무허가 정비업체.

취재진과 단속반이 사업장에 들이닥치자
하던 작업을 멈추더니 강력히 저항하기 시작합니다.

(싱크) 무허가 정비업체 사장
“어디서 고치라고 이거? 허가가 났건 안 났건 이 차들 11,200대를 갖다가 (아니 그러니까 사장님이) 누가 고치란 말이야?”

(싱크) 무허가 정비업체 사장
"용접이요 용접. (용접이 정비야) 그냥 해도 돼. 해도 돼. 해도 돼."

이들은 건설중장비 ‘덤프차’의 적재함을
불법으로 용접하고 있었습니다.

(스탠드 업) 이 업체는 수차례 고발조치가 됐지만
지금도 버젓이 불법정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울산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 불법 정비업체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CG IN) 이렇게 자격 없이 불법 정비 행위가 적발돼
고발된 건수는 지난해만 435건.

울산과 부산, 경남권역에서만 114건이 적발됐는데
이 가운데 울산에서는 20건이 적발됐습니다.(CG OUT)

울산에서 적발된 업체들 모두 벌금을 물었지만
여전히 불법정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무허가 정비업체 직원
"허가 난 데에서 (정비) 하라는데 허가 난 데는 이걸 안 해 또. 그래서 우리가 이렇게 해왔는데 오랫동안 해왔어요. 이게 고치려면 한 일주일 동안 기다렸다 고쳐야 되니까..."

무허가 사업장인데다가
전문 자격 없는 기사들이 이처럼 대형 건설중장비를 정비할 경우
언제 어디서 사고가 날지 모르는 상황.

뿐만 아니라 무등록업체가
약속 장소를 지정해 불법정비를 하는
일명 ‘떳다방’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한국건설기계정비협회 부울경 지도단속 관계자
“이건 건설 차량이다 보니까 위험 요소가 많죠. 허가 낸 업체로 갔을 때는 금액이 비싸면서 그 시간 안에 못 고쳐주다 보니까 이분들이 이런 데를 찾아다니면서 정비를 하고 있습니다. 본인들도 불법이라는 걸 알아요.”

단속반은 불법정비 근절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단속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무허가업체의 건설중장비 불법정비.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근절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JCN 뉴스 라경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