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CN 뉴스 >NEWS 다시보기

NEWS 다시보기

JCN NEWS 상세
사회
협의체 구성 '삐걱'..해상풍력 '발목'
송고시간2021/12/14 17:00


앵커)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과 관련해
어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민관 협의체 구성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목표였던 연내 구성이 불투명해지면서
각종 인허가 과정을 앞둔 해상풍력 사업이
발목이 잡히는 모양세입니다.

김동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의
각종 인허가 절차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가
‘주민 수용성’ 여부입니다.

울산시는 어민 반대가 지속되는
해상풍력 사업의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달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어민과 민간 사업자, 관계 기관이 참여하는
대표성 있는 협의체를 통해
수용성을 확보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연내 발족을 목표로 했던 협의체 구성은
여전히 난항에 빠져 있습니다.

울산시는 해상풍력 관련 어민 단체들의
규모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울산시 관계자
"(단체에 명단) 요청을 했는데 안 주신다는 쪽도 있고요. 지금하고 현황이 바뀌다보니까 인원 수가 더 늘었는지 줄었는지, 단체들이 나뉘고 그렇다보니까 그런 걸 지금 좀 (확인하고 있다.)"

협의체에 참여할 어민 대표를
어떻게 정할 것인지도 아직 미궁입니다.

현재 해상풍력 관련 어민 단체는 4개로
이들 모두 대표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CG IN) 산업통상자원부가 단체가 많은 경우
대표성이 있는 단체로
협의체를 구성한다고 지침을 내렸지만
이 대표성을 가릴 기준은
따로 없다는 점이 문제입니다.)OUT

민관 협의체가 구성된다 하더라도
4개 단체 중 2개 단체는
아예 해상풍력 사업 자체를 반대하고 있는 만큼
주민 수용성이 모아질지도 의문입니다.

인터뷰) 강신영 / 부유식해상풍력사업 반대추진위
"부유식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 난 뒤에 바다에 물고기가 없습니다. 생태계가 교란이 일어나고 물고기가 없어지고 기형이 생기고 한다는데, 저희는 바다를 지키기 위해서..."

해상풍력 사업은 인허가 과정에만
최소 2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협의체의 연내 구성이 불투명한 가운데
자칫 해상풍력 사업 자체가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JCN뉴스 김동영입니다.

#부유식해상풍력 #어민반대 #울산시 #울산 #민관협의체 #해상풍력